조선시대 함양 기록을 한눈에'조선왕조실록 함양편' 발간 연합뉴스
조선시대 함양 기록을 한눈에'조선왕조실록 함양편' 발간 연합뉴스
Blog Article
세태 민요는 일상생활에서 창조되고 불리던 노래로, 여기에는 민족 정서와 생활 감정이 풍부하게 담겨 있다. 민속놀이 민요는 지난날 우리 백성들이 여러 가지 민속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창조하고 불러온 노래이다. 민속놀이 민요는 놀이의 분위기와 흥취를 한결 돋우어 줄 뿐 아니라 놀이에 참가한 사람들의 동작을 하나로 통일시켜 주는 역할을 하였다. 민화는 18세기 이후 농업 생산의 증대, 수공업의 발전과 시장경제의 확대 등 경제의 성장에 따른 서민 대중 사이에서 생겨난 회화에 대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흔히 제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민화는 18세기 이후에 성장한 서민문화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줌과 동시에 우리 민족의 미의식, 조형상의 특성, 색채 감각 등을 보다 진솔하고 직설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 조선 후기의 회화에서 지극히 중요하게 평가되는 것은 풍속화의 발달이다.
태조, 숙종, 영조, 정조, 순조, 문조, 헌종의 어진 모사와 고종 어진을 주관한 당대 최고의 초상화가 채용신은 1906년 고향 전북에 돌아와 초상화 제작의 상업화와 초상화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이후 조선 후기로 갈수록 약으로 역병을 치료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해졌습니다. 명의 허준은 역병의 원인에 대해 보다 면밀하게 관찰하고 천연두를 치료하는 의학서 『언해두창집요』(1601년)를 발간했습니다. 또한 임진왜란 이후인 1612년에는 온역이 크게 유행해 조선 초기 온역 치료책을 모아 『신찬벽온방』 등을 새로 편찬했습니다.
그런데 관채는 정부의 재력과 인력의 부담을 가중시켰고, 민채는 민간자본이 미약하여 어려움이 있었다. 철장도회제를 채택한 뒤 야장(冶匠)들에 의한 수공업이 성장하게 되었다. 이들 중에는 정철(正鐵)만을 채굴, 제련한 정철장, 정철 제련 외에 정철기구까지 제작하던 주철장(鑄鐵匠), 무쇠를 만들어 솥과 농기구를 생산한 수철장(水鐵匠), 구리 산지에서 놋그릇을 생산한 유철장(鍮鐵匠) 등이 있었다. 특히 수철장들은 광범위한 판로를 가지고 성장하여, 세종 초에 이미 10인 내지 20인의 장인(匠人)을 거느린 야장을 경영하고 있었다.
사실 수도 서울이 조선왕조 500년 동안 우리 나라 역사문화의 중심지로서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청계천이라는 거대한 하수도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청계천으로 흘러 들어오는 지천을 통해서 서울 곳곳에 생명수가 전달될 수 있었으며, 반대로 서울 곳곳에서 버려지는 더러운 것이 청계천을 통해서 배설됨으로써 도시 전체가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었다. 새 논을 다시 개간하기 어려운 조건에서 남아 있는 농경지를 최대한 집약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모내기가 필연적이었다. 밭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간에는 모판에 모를 기르는 곳 외에는 모두 보리 등을 심어 밭농사를 짓다가 물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면 보리 등을 수확한 뒤 밭을 논으로 바꾸어 논농사를 지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여기에 더해 모내기를 하면 김을 매는 데 드는 품도 절약할 수 있었다.
전주에 태조어진을 봉안한 것은 조선 초인 1410년(태종 10)으로, 경주 집경전의 태조어진을 모사하여 모셨다. 조선왕조는 건국자인 태조의 어진을 전주에 봉안하여 이곳이 왕실의 고향임을 분명히 하였다. 죽은 자를 지키는 동쪽의 수호신 고구려 사람들은 죽은 자가 영원히 평안하기를 바라면서 무덤 네 벽에 동서남북 방위를 다스리는 사신四神을 그렸다. 그림 속 청룡은 큰 눈에 긴 혀를 내밀고 있고 몸통이 도마뱀과 같이 얇다. 세조 4년(1458) 경회루에서 대소신료를 불러 양로연(養老宴)을 베풀었는데 이때 정인지는 세조의 면전에 두고 역사에 남을 말을 남긴다.
그러나 17세기 이후에는 차츰 장자 단독상속이 유행하고 노비의 도망도 심해져 작개제는 빠른 속도로 소멸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농서가 간행되었다. 효종 때 신속(申洬)은 『 농가집성』을 펴냈고, 숙종 때 박세당(朴世堂)은 『 색경』을 간행하였는데, 이는 밭농사에 중점을 둔 것이었다. 같은 시기에 홍만선(洪萬選)이 낸 『 산림경제』도 넓은 의미의 농서에 해당하고, 헌종 때 서유구(徐有榘)가 낸 『 임원경제지』는 후기 농서의 집대성이었다. 고려 말에 원나라의 농서인 『농상집요주105』가 간행되기는 하였으나, 우리 실정에는 맞지 않는 것이었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부터 근대적 내용을 갖추어 갔으나, 관료제도와 중앙집권체제의 본질적 혁신을 추구하지는 못하였다. 1897년 고종이 황제를 표방하여 국호를 바꾸고 광무개혁을 추진하여 여러 부문에서 근대로의 변화가 진행되었으나, 정치적 변화는 미진하였다. 관료제도 또한 겉모습은 근대적으로 바뀌는 듯하였으나 본질을 크게 바꾸지는 못하였다. 특히 황제가 전근대 군신관계를 바탕으로 한 정치관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근대적 중앙집권체제에 접근하기 어려웠다.
여필종부라 하여 순종은 여성의 미덕으로 삼았고, 정절은 부녀의 생명보다도 중히 여겼다. 조선 초기에 주자의 『 가례』가 유행되면서 의식도 유교식으로 정착되어갔다. 이에 따라 종족 집단이 점차 조직화하여 종중에는 종회주166가 생기고, 종중 재산이 형성되었다.
붕당 사이의 싸움이 격렬해지자, 사림정치는 사회 모순을 개혁하는 길에서도 멀어져 갔다. 이로써 사림정치는 파탄 국면으로 접어들어, 환국주36정치와 탕평주37정치를 거쳐 세도정치로 변질되었다. 성종은 사림세력을 등용하여 훈구세력을 견제하며 정치운영방식의 변화를 꾀하였다.
보통 앉아서 먹는 상을 사용하였으나, 제례상만은 입식 상을 썼다. 중국에서 들어와 고려 때 이미 지배층의 전통이 된 뒤 조선으로 이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서민들은 이와 아울러 민요와 탈춤 등을 통해서 독자적인 정서를 응집하여 표출하고 있었다. 중세 신분질서의 모순 등을 담아 공동 제의에 이어 축제로서 공연되던 탈춤은 차츰 여러 지역에서 상업문화로 변모하였고, 나아가 판소리나 한글소설에도 서민적 정서가 담겨지게 되었다. 장시의 발달로 전보다 정보의 확산이 쉬워진 환경 속에서 일어난 이러한 변화는 민중의식을 고취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었다.
대구유달 포항유달 서울유달 유달 Report this page